기술 인사이트 정리/프로젝트 진행
[프로젝트 진행] 계획 관리 (일정 vs 마일스톤)
dekoms
2025. 4. 11. 18:37
💡 전제: 개발 목표
- 간단한 명언 추천 웹앱 만들기 (사용자 입력 → API 요청 → 명언 출력)
- 사용 기술: React, TypeScript, Tailwind, Open API, Vercel
✅ 마일스톤 중심 프로젝트 계획 예시
📍M1. 프로젝트 세팅 & 기본 UI 구성
기간: 1주차
목표: 사용자 입력 받고 기본 UI 구성 완료
작업(Task):
- Git 저장소 세팅
- CRA/Next.js 초기 프로젝트 생성
- 폰트, 컬러, 스타일 가이드 적용
- 입력창, 버튼, 레이아웃 구성
🎯 마일스톤 달성 기준: “입력창과 버튼이 정상적으로 보이고 동작한다”
📍M2. API 연동 및 핵심 기능 구현
기간: 2주차
목표: 명언 추천 기능이 동작하며 화면에 잘 나타남
작업(Task):
- API 연동 로직 구현 (fetch 또는 axios)
- 응답 데이터 구조 파악 및 타입 지정
- 명언 출력 영역 구성
- 예외 상황 처리 (에러 메시지 등)
🎯 마일스톤 달성 기준: “입력 후 명언이 정상 출력됨”
📍M3. 사용자 경험 개선 & 배포
기간: 3주차
목표: 앱을 외부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수준으로 개선
작업(Task):
- 로딩 처리, 사용자 피드백 메시지 추가
- 반응형 스타일링 적용
- favicon, meta tag 등 기본 설정
- Vercel로 배포
🎯 마일스톤 달성 기준: “기능 완성 + UX 개선 + 실제 주소로 배포됨”
💬 추가 마일스톤 예시 (시간 여유 있을 때)
📍M4. 기능 고도화
- 명언 즐겨찾기
- 테마 전환
- 간단한 애니메이션 효과 추가
📍M5. 사용자 피드백 수집 및 수정
- 친구/멘토에게 피드백 받기
- 피드백 기반 개선 사항 적용
🔁 마일스톤 관리 팁
- Notion, Trello, GitHub Projects 같은 툴로 마일스톤 등록 가능
- 각 마일스톤에는 이슈/태스크(Task)를 연결해서 관리
- 마일스톤마다 “완료 기준”을 명확하게 정의하는 게 핵심
이런 식으로 하면 일정보단 유연하게, 성과 단위로 관리할 수 있어서
프로젝트가 밀려도 방향 잃지 않고 꾸준히 나아갈 수 있어.
🙄🙄🙄
그런데 성과기준으로 마일스톤을 생성하더라도 결국 해당 마일스톤의 기간이 있는데 일정을 설정하는것과 별 차이 없는거 아닌가?
사실 “달력 중심 일정” vs “성과 중심 일정”의 시선 차이인데,
둘은 **완전히 다른 게 아니라, ‘어디에 더 중심을 두느냐’**의 문제야.
✅ 마일스톤도 일정이 있다.
✅ 하지만 단순히 날짜를 나열한 일정표와는 목적과 쓰임새가 다르다.
✅ “무엇이 끝나야 하는가”에 초점을 두는 게 핵심 차이점이다.
📘 일정 vs 마일스톤 핵심 차이 비교
항목 | 일정 중심 접근 | 마일스톤 중심 접근 |
기준 | 날짜, 기간 | 성과 (무엇을 완성했는가) |
주된 질문 | “오늘 뭘 해야 하지?” | “이번 주에 뭘 끝내야 하지?” |
변경 시 영향 | 하나 밀리면 전체 계획 차질 | 일부 작업 밀려도 조정 가능 |
리스크 대응 | 일정 지키는 게 최우선 | 결과물에 맞춰 유연하게 조정 |
추천 상황 | 루틴 반복 작업, 정해진 스케줄 | 창작/개발/연구 등 예측 어려운 작업 |
🔄 그래서 실제로는 이렇게 써:
❌ [일정 중심]
- 4월 11일: 버튼 UI 작업
- 4월 12일: API 연동
- 4월 13일: 에러 처리
✅ [성과 중심 마일스톤 + 일정 예시]
- [M2: 핵심 기능 구현 (4월 11~13일)]
- 성과 기준: 입력 후 명언이 API 통해 출력되면 완료
- 포함 작업: 버튼 UI + API 연동 + 에러 처리
👉 즉, 일정은 있되 작업을 묶는 단위와 기준이 다를 뿐이야.